안녕하세요, '쏭마'입니다.

암웨이를 처음 접하신 분들은 수익 구조에 대해 의문이 생기실 거에요.

그래서 이번에는 암웨이 수익 구조에 대해 설명해드려고 합니다!

우선 수익구조를 아시기 전에 암웨이에서 사용하는 PV, BV 란

무엇인지 설명해 드릴게요.

PV (Point Value) : 판매점수치

BV(Business Volume) : 판매가격치

쉽게 말해서

PV는 하나 제품을 구매할 때 적립되는 포인트

BV는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화 할 때 산정되는 금액

아래 그림에서 예를 들어서 설명 드릴게요.

만약 더블엑스 리필을 구매한다고 가정할께요.

그러면 47,830PV 가 적립이 되고, 47,830PV를 현금화시키면

72,700BV라는 수치가 되는 것이죠.

PV, BV 두가지 용어가 존재하는 이유는 보상시스템에 때문이에요.

매년 물가상승률에 맞춰서 비율이 변동이 된답니다.

여기까지는 조금 이해가 되셨죠?

그렇다면 다음 암웨이 수익 구조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암웨이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1차, 2차, 3차로 보너스를 가져갈 수 있어요.

보너스는 20만PV 이상부터 캐쉬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포인트가 아니라 돈으로 통장에 직접 입금되는 방식이죠.

위에서 더블액스를 리필을 구매해서 47,830PV 가 적립이 되고

내 전체 PV가 2만점 이상이 되면 72,700BV x 3% 가 캐쉬백으로 돌아오는 것이죠.

PV로 몇 %를 받을수 있는지 정해지고

BV x 몇%로 저에게 수익을 창출합니다.

암웨이는 상, 하위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계실건데요,

그럼 하위에 내 밑에 다른 사람이 있을 때는 어떻게 수익날까요?

A 사람 밑에 본인이 있고, 그 밑에 B, C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모두가 20만 PV를 달성했다고 할 경우

다단계라면 당연히 제일 위에 있는 A가 가장 많은 수입을 가져가지만

암웨이의 구조는 다릅니다.

1) 밑에서부터 빼고 나머지를 갖는다

2) 나로 인해 생긴 매출은 내가 갖는다

B와 C 모두 20만 PV를 넘겼기 때문에 3%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기때문에

B와 C는 6,000원이 캐시백으로 돌아옵니다

나는 "나의 PV 20만+B의 PV 20만+C의PV 20만"을 더한 60만 PV의 6%인 24,000원을 갖게됩니다

그렇다면 가장 위에있는

A는 전체 PV의 합인 80만점의 6%(48000원)에서

아래있는 사람들의 캐시백을 제외한

(나의 24000원+B의 6000원+C의 6000원)

48000-36000=12,000원을 받게됩니다.

상식적으로 A가 매출도 가장 많고, 가장 먼저 시작했지만,

나는 2명에게 알리고, A는 1명에게 알렸기 때문에 이렇게 차이나는 것입니다.

즉, 암웨이는 노력한 만큼 나에게 돌아온다는 사실!

한가지 당부드리고 싶은 점은,

처음부터 무리해서 20만점 혹은 60만점을 채우려고 욕심부리지 않으셨으면 하는 것입니다.

안티 암웨이가, 안티 다단계가 많은 이유는

욕심때문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기 때문에 생긴 부작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사용했을 때 정말 좋은 것은 다른 사람에게 추천을 통하여

네트위크을 형성하기를 바랄게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이나 쪽지, 카톡 주세요~

카톡 아이디 : seongma

오픈톡 : https://open.kakao.com/o/g5eQSkXb

안녕하세요?

블로그 관리자 '쏭마' 입니다

제가 암웨이를 시작하기 전 다단계라는 말을 듣고 거부감이 들었지만,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하나씩 정리해보려 합니다.

그래서 '암웨이(Amway)'는 과연 어떤 회사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암웨이(Amway)'는 1959년 미국에서

'제이 밴 엔델(J Van Andel)'과 '리치 디보스(Rich Devos)'

두 사람에 의해 최초로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농축 액체 세정제 'Liquid Organic Cleaner(LOC)' 제품을 가지고

공동 창업으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런던에 첫 해외 지사를 오픈한 이후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2019년 창립 60주년을 맞습니다.

 

처음 '제이 밴 엔델(J Van Andel)'이 미상공회의소 의장을

역임하였고, 2세 경영자 '스티브 반 어브델(Steve Van Avdel)' 은

두 번에 걸쳐 의장직을 지냈는데,

2대에 걸친 의장직 역임과 2회 연임은

미국에서도 최초라고 합니다.

미상공회의소 라고 하면 언뜻 이해가

잘 안될 수도 있는데, 우리나라로 치면

지금은 없어졌지만 '전국경제인연합회' 같은 거라고

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

그리고 현재는 밀린드 판트(Milind Pant)가

2019년 1월 최고경영자(CEO)로 합류해 힘을 더하고 있다네요.

이 사진은 미국 암웨이(Amway) 센터 사진인데,

암웨이(Amway)가 NBA 미국 농구 구단주로 있어서

올란트 매직 홈구장이 암웨이 센터라고 합하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는 NBA 농구팀

'올란도 매직'의 구단주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17,248명 수용이 가능합니다.

다시 돌아와서

암웨이(Amway)의 주요 사항을 요약하자면!

현재 21,000여 명의 직원과 900여 명의 연구원이 제품을 직접 생산,

200여 제품은 OEM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고,

1,200여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4대 유기농 농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64개국 100여 지역에 진출해 있습니다.

진출해 있는 지역에서 단 한 번도

철수한 적이 없습니다.

조금은 믿음이 가시죠?

회사에 대한 이런 설명들은 매우 중요해요.

회사의 안정성이나 지속성은

곧 소비자의 믿음으로 이어지가 때문이죠.

실제로 회원 직접판매 제도를 운용하는

업체 중에서는 한국에 진출했다가

철수한 회사가 대부분이에요.

사실 암웨이(Amway)가 진출해 있는

64개국에서 모두 매출 이익은 아니지만

지속성으로 사업자와의 신뢰를

지켜나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암웨이(Amway)에 대해 쉽게 설명한 영상이 있어

올려드리고 글은 마칠게요.

 

 

[한국암웨이] Amway 소개 영상

후원번호 필요하실 경우 댓글이나 쪽지, 카톡 주세요~

카톡 아이디 : seoongma

오픈톡 : https://open.kakao.com/o/g5eQSkXb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Recent posts